
체인링크 가격은 이번 주 초 주요 저항대에 막힌 뒤에도 수요일 약 17.83달러 부근에서 횡보 중이다.
Streamex, Arc, Virtune, ANZ, China AMC, Fidelity International 등 주요 기업·기관의 채택이 확대되면서 LINK의 ‘전통 금융 ↔ 블록체인’ 연결 스토리가 강화되고 있다.
기술적 관점에서 LINK가 19.67달러 위에서 일일 마감을 확보할 경우, 23.80달러 부근까지의 상방 시나리오가 열릴 수 있다는 분석이다.
체인링크(LINK)는 이번 주 초 핵심 저항선을 다시 두드린 뒤 되밀렸지만, 수요일 기준 약 17.83달러 선에서 버티는 모습이다. 온체인 오라클 인프라로서 체인링크는 Streamex, Arc, Virtune, 호주뉴질랜드은행(ANZ), 중국자산관리공사(China AMC), 피델리티 인터내셔널(Fidelity International) 등과의 협업 범위를 빠르게 넓히며, 전통 금융 인프라와 블록체인 간 연결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기술적으로 보면 19.67달러 위 일봉 마감 여부가 다음 상방 랠리의 관문으로 거론된다.
체인링크 채택 확대
나스닥 상장 실물자산(RWA) 토큰화 기업 스트림엑스(Streamex Corp., 티커 STEX)는 월요일, 체인링크를 공식 오라클 파트너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스트림엑스는 자사가 발행한 기관급 금 담보 스테이블코인 GLDY를 체인링크 CCIP 기반 크로스체인 토큰(Cross-Chain Token, CCT)으로 전환해, Base와 Solana 등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GLDY를 네이티브 형태로 안전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계 중이다. 또한 스트림엑스는 Chainlink Proof of Reserve(준비금 증명)를 적용해 GLDY를 담보하는 금 보유량을 온체인에서 실시간 검증하고, Chainlink Price Feeds를 통해 조작 불가능한 시세 데이터를 공급받아 금(XAU) 시장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화요일, 체인링크는 서클(Circle)이 주도하는 신규 레이어1 블록체인 ‘Arc’의 핵심 생태계 파트너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서클은 스테이블코인 USDC와 결제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업체다.
체인링크 측은 X(구 트위터)를 통해 “Arc는 Chainlink CCIP, 데이터 피드(Data Feeds),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s), 자동화 규정 준수 엔진(Automated Compliance Engine, ACE)을 통합함으로써, 규제 요건을 충족하면서도 여러 체인에 걸쳐 동작하는 고신뢰 크로스체인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 메시지는 Arc가 단순 ‘또 하나의 L1’이 아니라, 규정 준수(Compliance)와 보안성을 전제로 한 기관형 인프라를 표방하고 있음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같은 기간, 스웨덴 규제 하에서 운용되는 디지털 자산 운용사이자 암호화폐 ETP(상장지수상품) 발행사인 버튜네(Virtune)는 체인링크의 검증 가능한 데이터 표준을 자사 디지털 자산 ETP 전반에 통합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버튜네는 Chainlink Proof of Reserve 활용 측면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통합한 발행사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또한 홍콩 금융관리국(HKMA)은 이번 주 화요일 e-HKD(홍콩 디지털 화폐) 프로젝트 2단계(Phase 2) 관련 보고서를 공개했다. 여기에는 체인링크 기술을 활용한 크로스체인 결제/청산 시나리오가 포함돼 있으며, ANZ, China AMC, Fidelity International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Chainlink CCIP와 ACE(Automated Compliance Engine)를 결합해, 토큰화 자산의 크로스체인 결제·청산 과정에서 기관급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과 규제 준수 요구사항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구조를 시연했다.

이러한 협력 확대는 체인링크가 단순히 암호화폐 투자 테마를 넘어 ‘실제 금융 인프라에서 쓰이는 신뢰 레이어’로 자리잡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LINK 토큰의 중장기적 수요 측면에서도 긍정적 요인으로 해석된다.
파생상품 지표: LINK에 우호적인 베팅이 늘어나는 조짐
파생상품 측면에서도 체인링크에 대한 낙관론이 관측되고 있다. Coinglass 집계에 따르면 수요일 기준 LINK의 롱/숏 비율(long-to-short ratio)은 1.06으로, 한 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1 이상이라는 것은 공매수(롱) 포지션 비중이 공매도(숏)보다 많다는 뜻으로, 더 많은 트레이더들이 LINK 추가 상승 쪽에 베팅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Chainlink long-to-short ratio chart. Source: Coinglass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체인링크 선물 시장 요약 데이터 역시 유사한 흐름을 보여준다. 보고된 바에 따르면 대규모 고래성 매수 주문과 ‘바이 도미넌스(매수 우위)’ 신호가 나타나고 있어, 단기적으로 추가 반등 시나리오가 열릴 수 있다는 분석이 제시되고 있다.

체인링크 가격 전망: 핵심 저항 위 마감 시 23달러대 이상 시나리오
체인링크 가격은 월요일 200일 지수이동평균선(200일 EMA)인 18.90달러 부근에서 저항을 받았고, 다음 날까지 약 4% 가까이 하락했다. 수요일 작성 시점 기준으로 LINK는 약 17.83달러 부근에서 거래 중이며, 61.8% 피보나치 되돌림 레벨인 17.68달러 인근에서 지지를 확인하려는 모습이다.
만약 17.68달러 지지선이 유지되고 LINK가 일일 저항선으로 제시되는 19.67달러 위에서 마감할 경우, 다음 상단 타깃으로 23.81달러 부근(다음 일일 저항선)이 거론된다.
일간 차트 기준 상대강도지수(RSI)는 43 수준으로, 중립선인 50선 아래에 있지만 극단적 약세 신호로까지는 보이지 않는 구간에 있다. 향후 RSI가 다시 50선을 상향 돌파한다면 매수 우위(상승 모멘텀 회복) 시그널이 강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MACD(이동평균 수렴·발산 지표)는 지난주에 확인된 상승 교차(골든 크로스)가 여전히 유지되고 있어, 구조적으로는 상승 시나리오를 뒷받침하는 모양새다.

LINK/USDT daily chart
반대로 LINK가 17.68달러 지지선을 확실히 하향 이탈하며 일봉을 마감할 경우, 가격은 15.07달러대 일일 지지 구간까지 하락 조정을 이어갈 수 있다는 경계도 남아 있다.
면책사항: 본문의 내용은 편집자의 개인관점이며, Mitrade의 공식입장을 대표하지 않으며, 투자 권유 또는 제안의 목적이 아닙니다. 글의 내용은 단지 참고용이며, 독자는 본문의 내용을 어떠한 투자의 근거로 삼아서는 안됩니다. Mitrade는 이 글에 근거한 어떠한 거래 결과에 대해서도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Mitrade는 이 글의 정확성을 보증하지 않습니다. 투자 결정을 하기 전에 반드시 위험을 숙지할 수 있도록 독립적인 재무 상담사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차액 결제 거래(CFD)는 레버리지 상품이며, 귀하의 투자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CFDs 거래는 모든 사람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신중하게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